본 콘텐츠는 23년 콜라블의 정한호 대표가 강원일보에 기고한 '글로컬(Global+Locsl) 와인 스토리'의 연재 시리즈입니다.
🍷 글로컬 와인 스토리
1편. 강원도 로컬 음식과 와인의 환상적인 페어링 (23.2.10)
2편. 강릉의 와인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새로운 가능성 (23.2.17)
3편. 사업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와인 에티켓 (23.3.3)
4편. 당신의 비즈니스를 성공으로 이끌어 줄 와인 이야기 (23.3.17)
5편. 중요한 식사 자리를 유쾌하게 만들어 주는 와인 이야기 (23.3.31)
6편. 보르도 와인이 불러온 (영국-프랑스) 백년전쟁 (23.4.21)
7편. 프랑스 보르도 그랑크뤼 등급의 숨겨진 이야기 (23.5.19)
8편. 슈퍼 투스칸. 이탈리아 프리미엄 와인의 상징 (23.6.23)
9편. 빈티지에 숨겨진 와인 품질의 진실 (23.7.21)
10편. 와인은 환경 파괴의 주범? (23.9.15)
11편. 프렌치 패러독스. 와인과 건강의 상관관계 (23.10.6)
12편. 삼복더위를 달래줄 여름 음식과 와인 페어링 (23.11.24)
3. 사업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와인 에티켓
▪ 기업 CEO, 임원 80% 이상 와인 중요 생각
▪ 한국 중간 산도, 중상-풀바디, 중간 탄닌 보유 인기
▪ 잔 3분의 1까지...와인 향 잘 즐기기 위해
▪ 에티켓은 필수지만 이해와 응용은 개인 몫
비즈니스 자리에서 와인은 훌륭한 매개체다. 적당한 알코올은 미팅의 긴장감을 완화하고 자칫 불편할 수 있는 식사 자리를 편안하게 만들어준다. 그러나, 호스트 입장에서 와인을 선택해야 하거나 맛과 가격 등을 전혀 분간하지 못하면 와인이 큰 스트레스가 되기도 한다. 실례로 다양한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기업의 CEO, 임원들의 약 80% 이상이 비즈니스 자리에서 와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바쁜 기업인들이 와인 지식을 빨리 습득할 수 있을까? 안타까운 답변이지만 와인 지식에 왕도는 없다. 꾸준한 공부와 시음을 통해 천천히 익혀나가는 수밖에. 하지만, 오늘 소개하는 기본적인 와인 에티켓과 상식을 잘 인지한다면 적어도 비즈니스 자리에서 크게 당황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지금부터 필자와 함께 재밌는 상상을 해보자. 당신은 지금 중요한 비즈니스 미팅 현장에 와있다. 앞에는 고급스러운 식기와 와인잔이 세팅되어 있고 그 옆으로 묵직한 메뉴판 두 개가 놓여 있다. 첫 번째 메뉴판에서 오늘의 식사 메뉴는 어렵지 않게 고를 수 있었는데, 식사와 함께할 두 번째 와인 리스트를 보니 눈앞이 아득하다. 무작정 소믈리에에게 추천해 달라고 하기엔 왠지 부끄럽고, 그렇다고 내가 고르기엔 이 중요한 자리를 망칠까 두렵다. 만약 지금, 이 글을 읽고 등줄기에 식은땀이 흐른다면 차라리 다행이다. 앞으로, 충분히 준비할 시간이 있을 테니 말이다.
첫째로 소믈리에가 있는 레스토랑의 경우엔 수월한 편이다. 우선, 파트너에게 개인적인 취향 또는 선호하는 와인 스타일이 있는지를 먼저 묻는다. 특별히 없다고 하면 소믈리에에게 오늘의 메뉴와 어울리는 와인을 추천받으면 되는데, 이때 산도, 바디, 탄닌 같은 기본적인 와인 용어만 인지해뒀다 물어보면 되겠다. 레드 와인으로 예를 들어보자. “산도가 적당하고 중간 정도의 바디감에 탄닌감이 적은 부드러운 와인으로 추천해 주세요.” 이 정도 설명이면 무난한 요청이 될 것이다. 보통 한국의 경우엔 중간 산도, 중상-풀바디, 중간 정도의 탄닌을 보유한 와인이 인기가 많은데, 여기서 바디감은 보리차와 우유의 차이처럼 입안에서 느껴지는 무게감의 차이이고 (보리차: 라이트 바디, 우유: 풀 바디) 탄닌은 입안에서 느껴지는 떫은맛을 의미한다. 화이트 와인이나 샴페인(또는 스파클링 와인)은 레드 와인에 비해 실패 확률이 낮은 편인데 대부분 무난한 스타일이라 크게 호불호가 갈리지 않고, 특히 샴페인 같은 경우엔 어떤 음식과도 궁합이 좋아 어려운 식사 자리를 무난하게 이끌어갈 수 있다. 화이트 와인 주문 시 기억해둬야 할 점은 떫은맛을 내는 탄닌 성분이 없으므로 산도와 바디감만 설명해 주면 된다는 점이다.
둘째로 난이도를 높여 소믈리에가 없는 레스토랑으로 가보자. 우선 전과 동일하게 파트너에게 레드와 화이트, 스파클링 중 취향을 물어본다. 만약, 파트너가 화이트를 고르거나 먼저 추천하고자 한다면 샤르도네(Chardonnay) 품종이 무난하다.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리슬링(Riesling) 품종 대비 특징이 강하지 않아 호불호가 덜하고 가격대가 높은 고품질의 와인도 많이 생산하기 때문이다. 레드 와인의 경우엔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메를로(Merlot) 품종을 추천하고 싶은데, 두 품종의 가장 큰 차이점은 탄닌감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까베르네 소비뇽이 거칠고 강한 매력이 있는 반면, 메를로는 부드럽고 풍부한 바디감이 매력적이다. 주로 프랑스의 보르도(Bordeaux) 지역에서 두 품종으로 와인을 만들고 있어 적당한 가격대의 보르도 와인을 고르거나,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Napa Valley)의 까베르네 소비뇽도 좋은 선택지가 될 것 같다. 미국 와인은 기본적으로 드라이하지만, 보르도 와인에 비해 과실향이 강하고 끝에서 단맛도 조금 느껴져 와인을 자주 안 드시는 분들도 맛있게 드실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보르도 와인의 경우 라벨(Label)에 보르도라고 쓰여있는 와인보다는 지역 내 세부 산지나 마을명이 기재된 와인이 고품질의 와인이라는 점도 기억해두자. 한국식으로 표현하자면 라벨에 ‘서울’ 와인이 아닌 ‘강남구’ 와인 혹은 ‘신사동’ 와인이라고 적혀있을수록 더 좋은 와인이라는 뜻이다.
힘든 와인 주문이 끝나면 담당 소믈리에가 주문한 와인을 가져와 주문한 사람 또는 호스트를 대상으로 시음을 도와준다. 이때 시음은 와인의 맛을 평가하는 게 아닌 주문한 와인이 올바르게 나왔는지 혹은 퀄리티에 이상이 없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와인은 보관, 코르크 상태 등에 따라 결함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사실 일부 결함이 있어도 일반인이 이를 판별하긴 쉽지 않다. 따라서, 중대한 결점으로 의심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보통 오케이 신호를 보내게 된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소믈리에에게 확인을 부탁하면 된다.
와인 테이블 매너
1. 와인은 첨잔이 가능하다.
2. 와인은 와인잔의 1/3 정도만 따르면 된다.
3. 와인을 서빙할 땐 라벨이 위로 보이게 따른다.
4. 와인을 서빙할 때 끝에 와인병을 살짝 돌려주거나 위로 올려주면 와인이 병을 따라 흘러내리는 걸 방지할 수 있다.
5. 와인을 서브 받을 땐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잔의 하단 부분인 베이스(Base)만 가볍게 터치해주면 된다.
6. 건배할 땐 와인잔의 넓은 부분인 볼(Bowl) 부분을 부딪친다.
7. 건배할 땐 상대방의 눈을 마주친다.
8. 잔을 돌리는 행위인 스월링(Swirling)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한다.
9. 와인잔은 기본적으로 다리 부분인 스템(Stem) 부위를 잡으면 되나, 볼(Bowl)이나 베이스(Base) 부분을 잡아도 무방하다.
그럼, 이제 본격적인 식사 예절을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로 2번 항목에서 와인잔의 3분의1인 볼 부분까지 따르는 건 와인의 향을 더욱 잘 즐기기 위해서이다. 7번의 건배할 때 눈을 마주치는 행동은 서양에서 상당히 중요한 매너인데 한국에선 한국식으로 윗사람 또는 파트너와 마실 땐 와인잔을 한 손으로 받치거나 살짝 목례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왜 이런 매너가 생겼는지 그 이유만 잘 이해한다면 말이다. 8번 스월링의 경우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하는 이유는 혹시라도 와인이 상대방에게 튀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다. 시계 반대 방향일 때 와인이 내 몸쪽으로 튈 가능성이 조금 더 높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9번 와인잔의 스템을 잡는 건 온도 때문인데 사람의 체온이 와인의 적정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다리를 잡는 것이다. 하지만, 체온으로 인해 와인 맛이 크게 변하는 건 아니고 실제로 와이너리 오너들을 만나도 편하게 볼을 잡는 경우가 많다. 저명한 국제회의의 사진을 봐도 외국의 귀빈들과 대통령이 볼을 잡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데, 이처럼 원칙은 이해하되 식사 분위기에 따라 스템을 잡거나 볼을 잡아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더욱 중요한 점은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식사 예절을 기재했지만 이를 꼭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하거나 너무 격식에 얽매여 식사 자리를 망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와인은 결국 비즈니스 자리를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도구이지 가장 중요한 것은 파트너와의 진실한 대화이기 때문이다. 와인이 대중화된 지금 기본적인 에티켓은 필수지만 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응용하는지는 결국 개인의 몫이다.
정한호 | 콜라블(Collable) 대표
본 콘텐츠는 23년 콜라블의 정한호 대표가 강원일보에 기고한 '글로컬(Global+Locsl) 와인 스토리'의 연재 시리즈입니다.
🍷 글로컬 와인 스토리
1편. 강원도 로컬 음식과 와인의 환상적인 페어링 (23.2.10)
2편. 강릉의 와인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새로운 가능성 (23.2.17)
3편. 사업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와인 에티켓 (23.3.3)
4편. 당신의 비즈니스를 성공으로 이끌어 줄 와인 이야기 (23.3.17)
5편. 중요한 식사 자리를 유쾌하게 만들어 주는 와인 이야기 (23.3.31)
6편. 보르도 와인이 불러온 (영국-프랑스) 백년전쟁 (23.4.21)
7편. 프랑스 보르도 그랑크뤼 등급의 숨겨진 이야기 (23.5.19)
8편. 슈퍼 투스칸. 이탈리아 프리미엄 와인의 상징 (23.6.23)
9편. 빈티지에 숨겨진 와인 품질의 진실 (23.7.21)
10편. 와인은 환경 파괴의 주범? (23.9.15)
11편. 프렌치 패러독스. 와인과 건강의 상관관계 (23.10.6)
12편. 삼복더위를 달래줄 여름 음식과 와인 페어링 (23.11.24)
3. 사업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와인 에티켓
▪ 기업 CEO, 임원 80% 이상 와인 중요 생각
▪ 한국 중간 산도, 중상-풀바디, 중간 탄닌 보유 인기
▪ 잔 3분의 1까지...와인 향 잘 즐기기 위해
▪ 에티켓은 필수지만 이해와 응용은 개인 몫
비즈니스 자리에서 와인은 훌륭한 매개체다. 적당한 알코올은 미팅의 긴장감을 완화하고 자칫 불편할 수 있는 식사 자리를 편안하게 만들어준다. 그러나, 호스트 입장에서 와인을 선택해야 하거나 맛과 가격 등을 전혀 분간하지 못하면 와인이 큰 스트레스가 되기도 한다. 실례로 다양한 통계자료를 살펴보면 기업의 CEO, 임원들의 약 80% 이상이 비즈니스 자리에서 와인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바쁜 기업인들이 와인 지식을 빨리 습득할 수 있을까? 안타까운 답변이지만 와인 지식에 왕도는 없다. 꾸준한 공부와 시음을 통해 천천히 익혀나가는 수밖에. 하지만, 오늘 소개하는 기본적인 와인 에티켓과 상식을 잘 인지한다면 적어도 비즈니스 자리에서 크게 당황하는 일은 없을 것이다.
지금부터 필자와 함께 재밌는 상상을 해보자. 당신은 지금 중요한 비즈니스 미팅 현장에 와있다. 앞에는 고급스러운 식기와 와인잔이 세팅되어 있고 그 옆으로 묵직한 메뉴판 두 개가 놓여 있다. 첫 번째 메뉴판에서 오늘의 식사 메뉴는 어렵지 않게 고를 수 있었는데, 식사와 함께할 두 번째 와인 리스트를 보니 눈앞이 아득하다. 무작정 소믈리에에게 추천해 달라고 하기엔 왠지 부끄럽고, 그렇다고 내가 고르기엔 이 중요한 자리를 망칠까 두렵다. 만약 지금, 이 글을 읽고 등줄기에 식은땀이 흐른다면 차라리 다행이다. 앞으로, 충분히 준비할 시간이 있을 테니 말이다.
첫째로 소믈리에가 있는 레스토랑의 경우엔 수월한 편이다. 우선, 파트너에게 개인적인 취향 또는 선호하는 와인 스타일이 있는지를 먼저 묻는다. 특별히 없다고 하면 소믈리에에게 오늘의 메뉴와 어울리는 와인을 추천받으면 되는데, 이때 산도, 바디, 탄닌 같은 기본적인 와인 용어만 인지해뒀다 물어보면 되겠다. 레드 와인으로 예를 들어보자. “산도가 적당하고 중간 정도의 바디감에 탄닌감이 적은 부드러운 와인으로 추천해 주세요.” 이 정도 설명이면 무난한 요청이 될 것이다. 보통 한국의 경우엔 중간 산도, 중상-풀바디, 중간 정도의 탄닌을 보유한 와인이 인기가 많은데, 여기서 바디감은 보리차와 우유의 차이처럼 입안에서 느껴지는 무게감의 차이이고 (보리차: 라이트 바디, 우유: 풀 바디) 탄닌은 입안에서 느껴지는 떫은맛을 의미한다. 화이트 와인이나 샴페인(또는 스파클링 와인)은 레드 와인에 비해 실패 확률이 낮은 편인데 대부분 무난한 스타일이라 크게 호불호가 갈리지 않고, 특히 샴페인 같은 경우엔 어떤 음식과도 궁합이 좋아 어려운 식사 자리를 무난하게 이끌어갈 수 있다. 화이트 와인 주문 시 기억해둬야 할 점은 떫은맛을 내는 탄닌 성분이 없으므로 산도와 바디감만 설명해 주면 된다는 점이다.
둘째로 난이도를 높여 소믈리에가 없는 레스토랑으로 가보자. 우선 전과 동일하게 파트너에게 레드와 화이트, 스파클링 중 취향을 물어본다. 만약, 파트너가 화이트를 고르거나 먼저 추천하고자 한다면 샤르도네(Chardonnay) 품종이 무난하다. 소비뇽 블랑(Sauvignon Blanc), 리슬링(Riesling) 품종 대비 특징이 강하지 않아 호불호가 덜하고 가격대가 높은 고품질의 와인도 많이 생산하기 때문이다. 레드 와인의 경우엔 까베르네 소비뇽(Cabernet Sauvignon), 메를로(Merlot) 품종을 추천하고 싶은데, 두 품종의 가장 큰 차이점은 탄닌감으로 생각하면 되겠다. 까베르네 소비뇽이 거칠고 강한 매력이 있는 반면, 메를로는 부드럽고 풍부한 바디감이 매력적이다. 주로 프랑스의 보르도(Bordeaux) 지역에서 두 품종으로 와인을 만들고 있어 적당한 가격대의 보르도 와인을 고르거나, 미국 캘리포니아 나파밸리(Napa Valley)의 까베르네 소비뇽도 좋은 선택지가 될 것 같다. 미국 와인은 기본적으로 드라이하지만, 보르도 와인에 비해 과실향이 강하고 끝에서 단맛도 조금 느껴져 와인을 자주 안 드시는 분들도 맛있게 드실 수 있기 때문이다. 참고로, 보르도 와인의 경우 라벨(Label)에 보르도라고 쓰여있는 와인보다는 지역 내 세부 산지나 마을명이 기재된 와인이 고품질의 와인이라는 점도 기억해두자. 한국식으로 표현하자면 라벨에 ‘서울’ 와인이 아닌 ‘강남구’ 와인 혹은 ‘신사동’ 와인이라고 적혀있을수록 더 좋은 와인이라는 뜻이다.
힘든 와인 주문이 끝나면 담당 소믈리에가 주문한 와인을 가져와 주문한 사람 또는 호스트를 대상으로 시음을 도와준다. 이때 시음은 와인의 맛을 평가하는 게 아닌 주문한 와인이 올바르게 나왔는지 혹은 퀄리티에 이상이 없는지를 판단하는 절차다. 와인은 보관, 코르크 상태 등에 따라 결함이 발생하기도 하는데, 사실 일부 결함이 있어도 일반인이 이를 판별하긴 쉽지 않다. 따라서, 중대한 결점으로 의심되는 경우가 아니라면 보통 오케이 신호를 보내게 된다. 만약 문제가 있다면 소믈리에에게 확인을 부탁하면 된다.
와인 테이블 매너
1. 와인은 첨잔이 가능하다.
2. 와인은 와인잔의 1/3 정도만 따르면 된다.
3. 와인을 서빙할 땐 라벨이 위로 보이게 따른다.
4. 와인을 서빙할 때 끝에 와인병을 살짝 돌려주거나 위로 올려주면 와인이 병을 따라 흘러내리는 걸 방지할 수 있다.
5. 와인을 서브 받을 땐 테이블 위에 올려놓고 잔의 하단 부분인 베이스(Base)만 가볍게 터치해주면 된다.
6. 건배할 땐 와인잔의 넓은 부분인 볼(Bowl) 부분을 부딪친다.
7. 건배할 땐 상대방의 눈을 마주친다.
8. 잔을 돌리는 행위인 스월링(Swirling)은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한다.
9. 와인잔은 기본적으로 다리 부분인 스템(Stem) 부위를 잡으면 되나, 볼(Bowl)이나 베이스(Base) 부분을 잡아도 무방하다.
그럼, 이제 본격적인 식사 예절을 알아보고자 한다. 첫째로 2번 항목에서 와인잔의 3분의1인 볼 부분까지 따르는 건 와인의 향을 더욱 잘 즐기기 위해서이다. 7번의 건배할 때 눈을 마주치는 행동은 서양에서 상당히 중요한 매너인데 한국에선 한국식으로 윗사람 또는 파트너와 마실 땐 와인잔을 한 손으로 받치거나 살짝 목례해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왜 이런 매너가 생겼는지 그 이유만 잘 이해한다면 말이다. 8번 스월링의 경우 시계 반대 방향으로 하는 이유는 혹시라도 와인이 상대방에게 튀는 걸 방지하기 위해서다. 시계 반대 방향일 때 와인이 내 몸쪽으로 튈 가능성이 조금 더 높기 때문이다.
마지막으로, 9번 와인잔의 스템을 잡는 건 온도 때문인데 사람의 체온이 와인의 적정 온도보다 높기 때문에 온도를 적정하게 유지하기 위해 다리를 잡는 것이다. 하지만, 체온으로 인해 와인 맛이 크게 변하는 건 아니고 실제로 와이너리 오너들을 만나도 편하게 볼을 잡는 경우가 많다. 저명한 국제회의의 사진을 봐도 외국의 귀빈들과 대통령이 볼을 잡는 장면이 자주 나오는데, 이처럼 원칙은 이해하되 식사 분위기에 따라 스템을 잡거나 볼을 잡아도 무방할 것이다. 여기서 더욱 중요한 점은 정확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식사 예절을 기재했지만 이를 꼭 절대적인 것으로 인식하거나 너무 격식에 얽매여 식사 자리를 망치지 말아야 한다는 점이다. 와인은 결국 비즈니스 자리를 부드럽게 만들어 주는 도구이지 가장 중요한 것은 파트너와의 진실한 대화이기 때문이다. 와인이 대중화된 지금 기본적인 에티켓은 필수지만 이를 어떻게 이해하고 응용하는지는 결국 개인의 몫이다.
정한호 | 콜라블(Collable)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