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콘텐츠는 23년 콜라블의 정한호 대표가 강원일보에 기고한 '글로컬(Global+Local) 와인 스토리'의 연재 시리즈입니다.
🍷 글로컬 와인 스토리
1편. 강원도 로컬 음식과 와인의 환상적인 페어링 (23.2.10)
2편. 강릉의 와인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새로운 가능성 (23.2.17)
3편. 사업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와인 에티켓 (23.3.3)
4편. 당신의 비즈니스를 성공으로 이끌어 줄 와인 이야기 (23.3.17)
5편. 중요한 식사 자리를 유쾌하게 만들어 주는 와인 이야기 (23.3.31)
6편. 보르도 와인이 불러온 (영국-프랑스) 백년전쟁 (23.4.21)
7편. 프랑스 보르도 그랑크뤼 등급의 숨겨진 이야기 (23.5.19)
8편. 슈퍼 투스칸, 이탈리아 프리미엄 와인의 상징 (23.6.23)
9편. 빈티지에 숨겨진 와인 품질의 진실 (23.7.21)
10편. 와인은 환경 파괴의 주범? (23.9.15)
11편. 프렌치 패러독스. 와인과 건강의 상관관계 (23.10.6)
12편. 삼복더위를 달래줄 여름 음식과 와인 페어링 (23.11.24)
9. 빈티지에 숨겨진 와인 품질의 진실
와인에 ‘빈티지(Vintage)’가 있다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하지만, 생각보다 정확한 뜻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빈티지란 바로 와인을 만든 ‘포도를 수확한 해’를 뜻한다. 즉, 2020 빈티지라면 2020년에 수확한 포도로 만든 와인이라는 뜻이다. 빈티지에 관한 여러 소문은 와인 애호가들조차도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번 칼럼에서는 빈티지에 대한 오해를 함께 풀어보고자 한다.
◾ 빈티지는 정말 중요할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중요하다. 하지만, 보통 5만 원 이상의 와인부터 그 차이점이 인지되기 시작하는데, 이마저도 상당한 고가의 와인이 아니라면 와인 애호가들조차도 큰 차이점을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만약 가끔 와인을 즐기는 정도라면 빈티지 자체에 집착하기보다는 내가 좋아하는 품종이나 생산지를 먼저 알고, 그중에서 유명한 생산자의 와인을 마셔보며 입문하는 게 우선이다. 그리고, 1~2만 원대 데일리 와인은 사실상 빈티지에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시중에서 유명한 가성비 와인을 골라 마시면 된다.
글 초반에 정의했듯이 빈티지라는 건 결국 그 해의 기후와 날씨를 뜻하는데 농사엔 풍년과 흉년이 있듯이 포도 농사도 좋은 해가 있고 힘든 해가 있다. 그중에서도 프랑스, 이탈리아 같은 구대륙 국가들은 기후 변덕이 심해 필연적으로 빈티지에 따라 품질 차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2020년의 프랑스는 일조량이 좋아 양질의 포도가 생산되며 세기의 빈티지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행복도 잠시, 다음 해인 2021년에 큰 서리 피해를 입으며 작황은 2/3 정도로 줄고 전체적인 품질도 떨어지게 된다. 반면, 미국 캘리포니아나 호주, 뉴질랜드같이 비교적 안정적인 기후를 갖고 있는 신대륙의 경우 빈티지에 따른 품질 차이가 크지 않다. 따라서, 와인이 많이 어렵거나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겐 신대륙 와인이 전체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 얼마나 오래된 빈티지까지 마셔도 괜찮을까?
강의를 다니다 보면 의외로 자주 받는 질문 중에 하나가 있다. “오래전 선물 받은 와인이 집에 있는데 혹시 마셔도 될까요?” 그러면, 와인의 금액대와 보관 방법을 여쭤보곤 하는데 만약 정확한 정보가 없다면 가급적 빨리 마시는 게 좋다고 말씀드린다. 이유는 좋은 환경에서 보관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와인의 보관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은 고품질의 와인이라면 20년이 지났어도 충분히 마실만하고 일반적인 데일리 와인이라면 산화됐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이런 의문점이 들 수도 있겠다. “고품질의 와인이란 과연 어느 정도의 금액을 의미할까?” 이를 단순 가격으로 객관화할 수는 없겠지만, 일반적으로 소매가 기준 5만 원 내외의 와인은 5~7년, 10만 원 내외의 와인은 7~10년, 그 이상은 10~30년까지도 숙성 잠재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품종과 생산지, 생산자 등에 따라 상이하고 위의 기간보다 초과됐다고 와인을 마실 수 없는 건 아니다. 다만 시음 적기를 지나 조금씩 나이가 들고 있으며, 이는 과실 향보다는 보다 복합적인 숙성향(가죽, 흙, 버섯 등)이 강해지는 시기임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보통의 데일리 와인이라면 3~5년 이내에 마시는 게 좋으며, 기간이 많이 지났을 경우 직접 마셔보고 괜찮다면 와인으로 즐기고, 그렇지 않다면 요리에 활용하길 추천한다.
그렇다면, 선물 받은 와인은 어떻게 보관하는 게 좋을까? 첫째, 가정에 와인셀러가 없다면 가급적 빨리 마시는 게 좋다. 일반적으로 고가의 와인은 숙성 잠재력이 좋아 10~20년 정도까지는 보관에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이는 올바른 환경에서 보관됐을 경우이고 일반적인 가정 환경에선 실내 온도가 다소 높고 특히나 여름철은 더욱 높은 편이라 숙성이 빨리 진행되기 때문이다. (와인은 10~15도 정도가 장기 보관에 적합하다.) 둘째, 직사광선이 없는 곳에 눕혀서 보관해야 한다. 이는 코르크 마개로 봉인된 와인에 해당하며, 만약 장기간 세워서 보관할 경우 코르크 수축으로 인해 유입된 산화가 와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눕혀서 보관해야 한다. 만약, 1~2주 안에 마실 예정이라면 와인을 천으로 감싸 냉장고 야채 칸 같은 곳에 보관해도 괜찮지만, 최소 몇 개월간 마실 일이 없다면 집안 가장 서늘한 곳에 보관하도록 하자.
◾ 빈티지에 숨겨진 와인 품질의 진실
구대륙, 그것도 고가의 와인은 빈티지에 따라 같은 와인도 가격 차이가 제법 큰 편이다. 그렇다면 무조건 더 비싸고 좋은 빈티지만 구매하는 게 좋을까? 이에 대해선 사람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이 달라 갑론을박이 있지만, 개인적으론 장기 보관 용이 아닌 바로 마실 와인이라면 어려웠던 빈티지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보르도의 2013 빈티지가 대표적인 예인데 오죽하면 보르도는 2013 빈티지만 피해라! 라는 이야기까지 있었으니 말이다. 이렇게 주장하는 근거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로는 가격 접근성이 좋다는 점을 들고 싶다. 좋은 빈티지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지만 어려웠던 빈티지는 평균값 보다 조금 저렴한 편이다. 비록 퀄리티에서 다소 부족할 순 있겠지만 비교적 저렴한 금액으로도 해당 와인과 와이너리 스타일을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는 좋은 옵션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지금 바로 마시기 좋다는 점이다. 좋은 빈티지의 경우 대부분 장기 숙성에 적합한 관계로 시중에 유통된 와인을 바로 오픈하면 탄닌이나 구조감 등이 너무 강건한 경우가 많다. 또한, 숙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캐릭터보다는 과실향이 강할 수 있어 해당 빈티지의 장점을 모두 느끼기엔 다소 아쉬움이 있다. 이를 깨우기 위해서 디캔팅(Decanting)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또한 와인이 조금 더 어려워지는 요소가 된다. 이에 반해, 어려웠던 빈티지는 오늘 사서 바로 마셔도 괜찮은 경우가 많다. 물론, 과실의 힘이나 집중도가 조금 아쉬울 수도 있겠지만 그동안 경험했던 보르도의 2013 그랑크뤼 와인들을 생각하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그러니 빈티지 자체에 너무 선입견을 갖고 접근하는 게 와인을 즐기는데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니다.
그렇다면 좋은 빈티지와 나쁜 빈티지는 어떻게 기억할 수 있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내가 좋아하는 지역의 최근 빈티지를 외워두는 거고, 특별히 없다면 해당 지역의 빈티지 차트(Vintage Chart)를 필요할 때만 구글에서 검색하면 된다. 보통 검색 시 주요 와인 잡지나 평가 기관에서 발행한 빈티지 점수가 나오며, 기관마다 조금씩 기준이 다르긴 하지만 큰 흐름에선 대부분 비슷한 편이다. 결국, 빈티지라는 건 좋을 때도 나쁠 때도 있는 법이지만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즐길지는 독자의 몫이다. 과거 특별한 날에만 즐기던 와인이 이제는 우리 일상과 가까워진 만큼 빈티지를 대하는 우리들의 마음도 조금 더 여유로워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정한호 | 콜라블(Collable) 대표
본 콘텐츠는 23년 콜라블의 정한호 대표가 강원일보에 기고한 '글로컬(Global+Local) 와인 스토리'의 연재 시리즈입니다.
🍷 글로컬 와인 스토리
1편. 강원도 로컬 음식과 와인의 환상적인 페어링 (23.2.10)
2편. 강릉의 와인 글로컬라이제이션과 새로운 가능성 (23.2.17)
3편. 사업가라면 반드시 알아야 할 와인 에티켓 (23.3.3)
4편. 당신의 비즈니스를 성공으로 이끌어 줄 와인 이야기 (23.3.17)
5편. 중요한 식사 자리를 유쾌하게 만들어 주는 와인 이야기 (23.3.31)
6편. 보르도 와인이 불러온 (영국-프랑스) 백년전쟁 (23.4.21)
7편. 프랑스 보르도 그랑크뤼 등급의 숨겨진 이야기 (23.5.19)
8편. 슈퍼 투스칸, 이탈리아 프리미엄 와인의 상징 (23.6.23)
9편. 빈티지에 숨겨진 와인 품질의 진실 (23.7.21)
10편. 와인은 환경 파괴의 주범? (23.9.15)
11편. 프렌치 패러독스. 와인과 건강의 상관관계 (23.10.6)
12편. 삼복더위를 달래줄 여름 음식과 와인 페어링 (23.11.24)
9. 빈티지에 숨겨진 와인 품질의 진실
와인에 ‘빈티지(Vintage)’가 있다는 사실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다. 하지만, 생각보다 정확한 뜻을 모르는 사람들이 많은데, 빈티지란 바로 와인을 만든 ‘포도를 수확한 해’를 뜻한다. 즉, 2020 빈티지라면 2020년에 수확한 포도로 만든 와인이라는 뜻이다. 빈티지에 관한 여러 소문은 와인 애호가들조차도 잘못 알고 있는 경우가 많아 이번 칼럼에서는 빈티지에 대한 오해를 함께 풀어보고자 한다.
◾ 빈티지는 정말 중요할까?
결론부터 이야기하자면 중요하다. 하지만, 보통 5만 원 이상의 와인부터 그 차이점이 인지되기 시작하는데, 이마저도 상당한 고가의 와인이 아니라면 와인 애호가들조차도 큰 차이점을 구별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만약 가끔 와인을 즐기는 정도라면 빈티지 자체에 집착하기보다는 내가 좋아하는 품종이나 생산지를 먼저 알고, 그중에서 유명한 생산자의 와인을 마셔보며 입문하는 게 우선이다. 그리고, 1~2만 원대 데일리 와인은 사실상 빈티지에 큰 의미가 없기 때문에 시중에서 유명한 가성비 와인을 골라 마시면 된다.
글 초반에 정의했듯이 빈티지라는 건 결국 그 해의 기후와 날씨를 뜻하는데 농사엔 풍년과 흉년이 있듯이 포도 농사도 좋은 해가 있고 힘든 해가 있다. 그중에서도 프랑스, 이탈리아 같은 구대륙 국가들은 기후 변덕이 심해 필연적으로 빈티지에 따라 품질 차이가 발생한다. 예를 들어, 2020년의 프랑스는 일조량이 좋아 양질의 포도가 생산되며 세기의 빈티지로 평가받았다. 하지만 행복도 잠시, 다음 해인 2021년에 큰 서리 피해를 입으며 작황은 2/3 정도로 줄고 전체적인 품질도 떨어지게 된다. 반면, 미국 캘리포니아나 호주, 뉴질랜드같이 비교적 안정적인 기후를 갖고 있는 신대륙의 경우 빈티지에 따른 품질 차이가 크지 않다. 따라서, 와인이 많이 어렵거나 처음 접하는 사람들에겐 신대륙 와인이 전체적으로 접근성이 좋은 편이다.
◾ 얼마나 오래된 빈티지까지 마셔도 괜찮을까?
강의를 다니다 보면 의외로 자주 받는 질문 중에 하나가 있다. “오래전 선물 받은 와인이 집에 있는데 혹시 마셔도 될까요?” 그러면, 와인의 금액대와 보관 방법을 여쭤보곤 하는데 만약 정확한 정보가 없다면 가급적 빨리 마시는 게 좋다고 말씀드린다. 이유는 좋은 환경에서 보관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물론, 와인의 보관 상태에 따라 다르겠지만 보통은 고품질의 와인이라면 20년이 지났어도 충분히 마실만하고 일반적인 데일리 와인이라면 산화됐을 가능성이 높다. 그렇다면 이런 의문점이 들 수도 있겠다. “고품질의 와인이란 과연 어느 정도의 금액을 의미할까?” 이를 단순 가격으로 객관화할 수는 없겠지만, 일반적으로 소매가 기준 5만 원 내외의 와인은 5~7년, 10만 원 내외의 와인은 7~10년, 그 이상은 10~30년까지도 숙성 잠재력이 있다고 볼 수 있다. 물론 품종과 생산지, 생산자 등에 따라 상이하고 위의 기간보다 초과됐다고 와인을 마실 수 없는 건 아니다. 다만 시음 적기를 지나 조금씩 나이가 들고 있으며, 이는 과실 향보다는 보다 복합적인 숙성향(가죽, 흙, 버섯 등)이 강해지는 시기임을 의미한다. 마지막으로, 보통의 데일리 와인이라면 3~5년 이내에 마시는 게 좋으며, 기간이 많이 지났을 경우 직접 마셔보고 괜찮다면 와인으로 즐기고, 그렇지 않다면 요리에 활용하길 추천한다.
그렇다면, 선물 받은 와인은 어떻게 보관하는 게 좋을까? 첫째, 가정에 와인셀러가 없다면 가급적 빨리 마시는 게 좋다. 일반적으로 고가의 와인은 숙성 잠재력이 좋아 10~20년 정도까지는 보관에 문제가 없다. 하지만, 이는 올바른 환경에서 보관됐을 경우이고 일반적인 가정 환경에선 실내 온도가 다소 높고 특히나 여름철은 더욱 높은 편이라 숙성이 빨리 진행되기 때문이다. (와인은 10~15도 정도가 장기 보관에 적합하다.) 둘째, 직사광선이 없는 곳에 눕혀서 보관해야 한다. 이는 코르크 마개로 봉인된 와인에 해당하며, 만약 장기간 세워서 보관할 경우 코르크 수축으로 인해 유입된 산화가 와인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어 눕혀서 보관해야 한다. 만약, 1~2주 안에 마실 예정이라면 와인을 천으로 감싸 냉장고 야채 칸 같은 곳에 보관해도 괜찮지만, 최소 몇 개월간 마실 일이 없다면 집안 가장 서늘한 곳에 보관하도록 하자.
◾ 빈티지에 숨겨진 와인 품질의 진실
구대륙, 그것도 고가의 와인은 빈티지에 따라 같은 와인도 가격 차이가 제법 큰 편이다. 그렇다면 무조건 더 비싸고 좋은 빈티지만 구매하는 게 좋을까? 이에 대해선 사람마다 중요하게 생각하는 기준이 달라 갑론을박이 있지만, 개인적으론 장기 보관 용이 아닌 바로 마실 와인이라면 어려웠던 빈티지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보르도의 2013 빈티지가 대표적인 예인데 오죽하면 보르도는 2013 빈티지만 피해라! 라는 이야기까지 있었으니 말이다. 이렇게 주장하는 근거로는 크게 두 가지가 있는데, 첫째로는 가격 접근성이 좋다는 점을 들고 싶다. 좋은 빈티지는 상대적으로 가격이 비싸지만 어려웠던 빈티지는 평균값 보다 조금 저렴한 편이다. 비록 퀄리티에서 다소 부족할 순 있겠지만 비교적 저렴한 금액으로도 해당 와인과 와이너리 스타일을 경험해 볼 수 있다는 점에서는 좋은 옵션이라고 생각한다. 둘째, 지금 바로 마시기 좋다는 점이다. 좋은 빈티지의 경우 대부분 장기 숙성에 적합한 관계로 시중에 유통된 와인을 바로 오픈하면 탄닌이나 구조감 등이 너무 강건한 경우가 많다. 또한, 숙성 과정에서 발생하는 복합적인 캐릭터보다는 과실향이 강할 수 있어 해당 빈티지의 장점을 모두 느끼기엔 다소 아쉬움이 있다. 이를 깨우기 위해서 디캔팅(Decanting)을 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또한 와인이 조금 더 어려워지는 요소가 된다. 이에 반해, 어려웠던 빈티지는 오늘 사서 바로 마셔도 괜찮은 경우가 많다. 물론, 과실의 힘이나 집중도가 조금 아쉬울 수도 있겠지만 그동안 경험했던 보르도의 2013 그랑크뤼 와인들을 생각하면 꼭 그렇지만도 않다. 그러니 빈티지 자체에 너무 선입견을 갖고 접근하는 게 와인을 즐기는데 그리 좋은 방법은 아니다.
그렇다면 좋은 빈티지와 나쁜 빈티지는 어떻게 기억할 수 있을까? 가장 좋은 방법은 내가 좋아하는 지역의 최근 빈티지를 외워두는 거고, 특별히 없다면 해당 지역의 빈티지 차트(Vintage Chart)를 필요할 때만 구글에서 검색하면 된다. 보통 검색 시 주요 와인 잡지나 평가 기관에서 발행한 빈티지 점수가 나오며, 기관마다 조금씩 기준이 다르긴 하지만 큰 흐름에선 대부분 비슷한 편이다. 결국, 빈티지라는 건 좋을 때도 나쁠 때도 있는 법이지만 이를 어떻게 받아들이고 즐길지는 독자의 몫이다. 과거 특별한 날에만 즐기던 와인이 이제는 우리 일상과 가까워진 만큼 빈티지를 대하는 우리들의 마음도 조금 더 여유로워졌으면 하는 바람이다.
정한호 | 콜라블(Collable)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