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화. 식용포도와 양조용포도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2022-06-17
조회수 2820


오늘도 어서오세요~ 와인을 정말 쉽게 알려주는 뜨루학교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저는 뜨루학교에서 뜨루민들에게 재미나고 유익한 와인 강의를 진행하는 찐 와인 러버 빅코입니다! 👃 


오늘은 지난 시간에 이어 와인의 원재료인 포도에 대해 알아보도록 할게요~!   

혹시, 지난 시간에 수업 참여를 못한 뜨루민들은 아래의 자료를 먼저 공부하고 오세요!   [링크 | 여러분, 와인이란 무엇인가요?]


와인 양조에 활용되는 포도

지난주에 와인은 포도나 포도즙을 발효해서 만든다고 정의했잖아요? 그렇다면 와인은 어떤 포도로 만드는 것일까요? 우리가 흔히 마트나 시장에서 볼 수 있는 일반적인 식용 포도로 와인을 만들까요? 🤔


엄밀히 말씀드리면 우리나라에서도 캠벨 포도에 약간의 가당을 통해 와인을 양조하고 있긴 하지만, 우리가 일상에서 접하는 대부분의 와인은 캠벨과 같은 식용 포도가 아닌 양조용 포도로 만들어지고 있어요.

👉 가당: 당분을 첨가하는 것을 의미해요.


양조용 포도는 식용 포도보다 알이 작고 촘촘하지만, 껍질은 훨씬 두껍고 씨는 훨씬 큽니다. 그리고 포도 과육이 함유하고 있는 당분과 산도의 정도도 매우 높죠!

 

포도즙이 발효 과정을 거치면서 적정 수준의 알코올을 가지기 위해서는 높은 수준의 당분이 필요해요. 또한, 와인이 병 속에서 변질되지 않고 오랜 기간 보관되기 위해서는 적정 수준의 타닌 또는 산도가 필요한데, 양조용 포도가 이러한 조건에 부합하는 것이죠. 😋

👉 참고로, 효모가 당분 약 17g을 분해할 때마다 알코올 도수가 1도씩 올라가요!

👉 탄닌(Tannin): 포도 줄기, 껍질, 씨 등에서 추출되는 성분으로, 타닌 성분으로 인해 레드 와인에 떫은 맛이 생겨나요.

👉 산도(Acid): 와인에 신 맛과 신선함을 제공하는 성분이에요.


그래서 와인을 만들 때는 양조용 포도를 활용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경우 비티스 비니페라(Vitis Vinifera)라고 불리는 유럽종을 활용합니다. 좀 더 쉽게 설명을 드리자면, 우리가 마트나 와인샵에서 찾아볼 수 있는 대부분의 와인이 유럽종인 비티스 비니페라에 속해 있는 품종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이해하시면 돼요! 👍

 

다음은 비티스 비니페라에 속해 있는 품종 예시입니다!

■ 적포도: Cabernet Sauvignon, Merlot, Pinot Noir, Syrah/Shiraz, Malbec, Sangiovese, Nebbiolo 등

■ 청포도: Chardonnay, Sauvignon Blanc, Riesling, Moscato, Sémillon 등


@Unsplash, Cabernet sauvignon


와인에 대한 이해

내용을 정리해보자면, 와인은 포도로 만들어지는 것이며 와인 양조에 쓰이는 포도종은 비티스 비니페라로 불리는 유럽종으로 매우 다양한 포도 품종이 여기에 포함되어 있어요!

 

즉, 포도 품종의 다양성으로 인해 와인이 1차적으로 가지는 기본적인 향과 맛이 달라지는 것이며, 그 스펙트럼 또한 아주 폭넓은 것이죠! 🌈

 

하지만, 와인은 포도 품종에 대한 지식만 가지고는 온전히 이해할 수 있는 술이 아니에요. 생산국, 세부 산지, 그해의 날씨, 생산자에 따른 양조 방식 등 정말 다양한 요소가 와인의 품질과 맛에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이죠. 😥 이러한 이유로 와인을 처음 접한 사람들의 입장에서는 ‘와인, 뭐가 이렇게 복잡해!’라며 어려움을 호소하기도 하는 것 같아요. 😭

 

여기에도 ‘어...나잖아?’ 라고 하신 분 계시죠? 😂 그렇다면 와인을 너무 복잡하고 어렵게 생각하기보다는, 매주 뜨루 학교에 와서 지식도 쌓고 다양한 이야기도 들어 보는 것은 어떨까요? 가끔 시간 여유가 있을 때 와인 관련 서적을 읽거나 전문가 강의를 들으며 와인에 대해 차근차근 알아가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고요!


그러다 보면 어느새 와인에 푸욱~ 빠져 있는 나 자신을 발견하게 될 것이라고 이 빅코는 확신합니다. 😎

 

오늘 강의는 여기까지입니다. 다음 주에도 빅코의 강의 들으러 올 거죠? 🤓

다음 주 금요일 12시에요! 그럼 다음 주에 또 만나요!! 👋

회사명. 콜라블(Collable)  |  대표자. 정한호

주소. 서울 강동구 고덕비즈밸리로 26 A동 2004호 (강동U1센터) 

사업자. 585-28-01163  |  신판. 2024-서울강동-1223

대표번호. 02-2088-4035  |  문의. info@collable.co.kr 

Copyright ⓒ 2024 콜라블 Collable All rights reserved. 


회사명. 콜라블(Collable)  |  대표자. 정한호

주소. 서울 강동구 고덕비즈밸리로 26 A동 2004호 (강동U1센터)  

Copyright ⓒ 2024 콜라블 Collable All rights reserved.

사업자. 585-28-01163  |  통신판매. 2024-서울강동-1223

대표번호. 02-2088-4035  |  문의. info@collable.co.kr


카카오톡 채널 채팅하기 버튼